티벳어 고전문법 정리노트 2과 - 후접자 note-tcg-chapter-2

1.티벳어 음절의 구성

한글에서 자음과 모음의 낱자들이 상, 하, 좌, 우에서 결합하여 하나의 음절을 구성하듯이, 티벳글자들 또한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음절을 구성한다.

예를들면, 한글의 1음절 '글'의 경우 : 초성 'ㄱ' 과 중성(모음) 'ㅡ'와 종성(흔히 받침글자) 'ㄹ'이 결합하여 '글'이라는 하나의 음절을 구성한다.

티벳글자의 1음절 བསྒྲུབས་[둡]의 경우 : 가 초성, ུ 가 중성(모음), 세 번째 위치의 가 종성역할을 하여 하나의 음절을 구성한다. 이때 초성의 역할을 하는 글자를 기본자라고 한다.

그런데 한글과 달리 티벳글자 음절구성의 특징은 초성이나 중성, 종성의 역할을 하지 않으면서도 기본자의 앞이나 위 또는 아래, 마지막에 결합하는 추가적인 글자들(བ ས 등)이 있다는 점이다.

사실 한국어의 경우에도 '앉다'의 종성'ㄴㅈ' 중 'ㅈ' 처럼 종성 역할을 하지 않고 의미구분 역할을 하거나 '앉아라'처럼 활용형태의 발음변화를 암시하는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다.

추가적으로 결합하는 티벳글자들도 이와 유사하게 기본자의 주변에서 결합하여 성조에 변화를 주거나 의미구분 역할을 한다.

좀더 상세한 설명은 [쉽게배우는 현대티벳어 - 문자의구성] 편을 참조하기 바란다.

티벳어고전문법참고-문자의결합.png

2.후접자

후접자는 음절을 구성할때 기본자 뒤에 오는 글자를 말하며, 티벳어로는 རྗེས་འཇུག་[젠죽]이라고 한다.

후접자를 역할에 따라 분류하면 크게 세 분류가 있다.

  1. 종성(받침글자)의 역할만 하는 글자
  2. 중성(모음)의 역할만 하는 글자
  3. 중성과 종성의 역할을 모두 하는 글자

표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종성 중성 중성+종성
ག་ ང་ བ་ མ་ ར་ ད་ ས་ འ་ ན་ ལ་
[ᄀ] / [ᄋ] / [ᄇ] / [ᄆ] / [ᄅ] [ᅢ] / [ᅢ] / [아 : ] [ᅢ] + [ᄂ] / [ᅢ] + [ᄅ]

3.후접자 예제 표

종성(받침글자)역할 후접자

No. 5 예제 한국어
1 ག་ ག་པ། / ལུ / སྟ /གཟིག་ 손 / 양 / 호랑이 / 표범
2 ང་ རྐང་པ། / ཁང་པ། / ངང་པ། / འབྲོང་། 발 / 집 / 오리 / 마을 / 촌
3 བ་ ནུབ། / ཁབ། / ཐབ་ཚང་། / ལབ་པ། 서(쪽) / 바늘 / 부엌 / 말하다
4 མ་ མ་བུ། / ཟམ་པ། / ལམ། / དོམ། 살구 / 다리(교량) / 길 / 곰
5 ར་ ར་པ། / མར། / ཤར། / ནོར། 비 / 버터 / 동(쪽) / 보석

중성(모음)역할 후접자

No. 3 예제 한국어
6 ད་ ད་པ། / ནད་པ། / པད་མ། / བཤ་པ། 신념 / 환자 / 연꽃 / 설명
7 ས་ ས། / རས། / ནས། / ཡོས། 음식(문어) / 천, 헝겊 / ~로부터 / 말린곡식
8 འ་ བཀའ། / དགའ་བ། / མདའ། / གནའ། 말씀 / 기쁨 / 화살 / 고대

중성 + 종성역할 후접자

No. 2 예제 한국어
9 ན་ ན་པ། / ཉན་པ། / ལན། / གཉན། 나쁜 / 듣다 / 대답 / 야생양
10 ལ་ ལ། / ཞལ། / ཚལ། / དྲེལ། 양털 / 얼굴의 높임말 / 채소 / 노새